분류 전체보기(103)
-
노티피케이션이란 (Notification)?
노티피케이션이란?? Notification이 오면 observer pattern을 통해서 등록된 옵저버들에게 Notification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래스. Notification을 발송하면 NotificationCenter에서 메세지를 전달한 observer를 처리할 때까지 대기한다. - 즉, 흐름이 동기적으로 흘러간다. - Notification Center를 통해서 앱의 한 파트에서 다른 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 Notification이 오면 등록된 observer list를 스캔한다. - Notification Center는 어플리케이션 어느 곳에서 어느 객체와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NotificationCenter는 언제 사용해야할까? - 앱 내에서 공식적인 연결이 없..
2023.08.22 -
싱글톤 Singleton
싱글턴 디자인 패턴은 언제 활용하면 좋을까? - 1.특정 용도로 객체를 하나 생성해서 공용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2.인스턴스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을 보증하고 싶은 경우사용(1개의 값으로 여러곳에 쓰이게될때?) 내 프로젝트에 적용한다면 어디에 적용하는게 좋을까? - 과일의 갯수 변화에 반응하기 위해서 사용하면 좋을꺼같습니다. - 기존재고를 가지고 있고 주스 주문시에 과일을 감소시킬때 싱글톤패턴을 활용할수 있다고생각됩니다. - 또한 주소값이 같으므로 남은재고에서 재고 수정을 진행할때 수정사항이 변경될수있게 한다면 - 싱글톤 객체를 만든것으로 여러곳에서 유용하게 쓸수 있을꺼라 생각 합니다. 싱글턴 디자인 패턴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 장점- 한 번 생성된 인스턴스로 계속하여 활..
2023.08.22 -
구조체와 클래스
TRANSLATE with x English Arabic Hebrew Polish Bulgarian Hindi Portuguese Catalan Hmong Daw Romanian Chinese Simplified Hungarian Russian Chinese Traditional Indonesian Slovak Czech Italian Slovenian Danish Japanese Spanish Dutch Klingon Swedish English Korean Thai Estonian Latvian Turkish Finnish Lithuanian Ukrainian French Malay Urdu German Maltese Vietnamese Greek Norwegian Welsh Haitian Creol..
2023.08.22 -
야곰 아카데미 스위프트 `코드 스타터` 7기 후기
힘들게 swift를 시작하고 있나요?? 혼자서 힘든 벽을 뚫어가며 배우고 있나요?? 그런데 말입니다?? 다 같이 swift 를배우면서 서로 성장을 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달려가봐야겠죠?? 그곳은 바로 야곰 아카데미 " 코드 스타터" 과정입니다.!! 먼저 코드 스타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 코멘트처럼 순서도에 이해가 어렵다면 코드 스타터로 바로 직행하시면 됩니다.! 또한, 무언가 애매하다? 싶으시면 주저 없이 코드 스타터를 시작하시면 아주 좋습니다.!! 저는 당연 바로 코드 스타터로 직행했습니다.!! 자 이제 시작하게 되었다면 여태 성장해왔던 것과는 다르게 교육이 진행됩니다.!! 코드 스타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스스로 발전하는 시간.! 주입식 교육이 아니다.!!! -강의를 듣고 ..
2023.03.30 -
MVVM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기
MVVM패턴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MVVM패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MVVM패턴이란? MV: 뷰모델 (화면의 동작방식을 표현하는? 뷰를 나타내주기 위한 모델이며 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간입니다!) V: 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구성요소입니다!) M: 모델 (일종의 Data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화면에 관련된 데이터요소의 로직을 작성하는구간입니다!) 로 디자인 패턴이 되어 있으며 MVC의 C인 컨트롤러의 역할을 줄이기 위한 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점이라면? 1.View와의 Model의 의존성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View와 ViewModel을 바인딩 하여 코드의 양이 줄어든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장 떠오르는 건 이 정도입니다. 조금 더 MV..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