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36)
-
메모리 구조 와 ARC
메모리의 구조 Q.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는 어떤어떤 영역을 가지고 있을까? 1. 스택 (Stack): 스택은 함수 호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함수 호출 시에 호출 스택 프레임이 스택에 추가되고, 함수가 반환되면 해당 프레임이 스택에서 제거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2. 힙 (Heap): 힙은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힙은 객체와 데이터 구조의 인스턴스, 그리고 동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힙은 개발자가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하는 데 직접적인 제어를 갖습니다. 3. 데이터 영역 (Data Section): 데이터 섹션은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프로그램 실행 전에 할당되고 프로그램 종료 ..
2023.08.30 -
SOLID
🔥 SOLID SOLID 원칙을 지킴으로써 유지보수가 쉽고, 유연하고, 확장이 쉬운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약어 - 개념 | S |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 O | OCP |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한다. | | L |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한다. | | I |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
2023.08.22 -
노티피케이션이란 (Notification)?
노티피케이션이란?? Notification이 오면 observer pattern을 통해서 등록된 옵저버들에게 Notification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클래스. Notification을 발송하면 NotificationCenter에서 메세지를 전달한 observer를 처리할 때까지 대기한다. - 즉, 흐름이 동기적으로 흘러간다. - Notification Center를 통해서 앱의 한 파트에서 다른 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 Notification이 오면 등록된 observer list를 스캔한다. - Notification Center는 어플리케이션 어느 곳에서 어느 객체와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NotificationCenter는 언제 사용해야할까? - 앱 내에서 공식적인 연결이 없..
2023.08.22 -
싱글톤 Singleton
싱글턴 디자인 패턴은 언제 활용하면 좋을까? - 1.특정 용도로 객체를 하나 생성해서 공용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2.인스턴스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을 보증하고 싶은 경우사용(1개의 값으로 여러곳에 쓰이게될때?) 내 프로젝트에 적용한다면 어디에 적용하는게 좋을까? - 과일의 갯수 변화에 반응하기 위해서 사용하면 좋을꺼같습니다. - 기존재고를 가지고 있고 주스 주문시에 과일을 감소시킬때 싱글톤패턴을 활용할수 있다고생각됩니다. - 또한 주소값이 같으므로 남은재고에서 재고 수정을 진행할때 수정사항이 변경될수있게 한다면 - 싱글톤 객체를 만든것으로 여러곳에서 유용하게 쓸수 있을꺼라 생각 합니다. 싱글턴 디자인 패턴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 장점- 한 번 생성된 인스턴스로 계속하여 활..
2023.08.22 -
MVVM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기
MVVM패턴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MVVM패턴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MVVM패턴이란? MV: 뷰모델 (화면의 동작방식을 표현하는? 뷰를 나타내주기 위한 모델이며 뷰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간입니다!) V: 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구성요소입니다!) M: 모델 (일종의 Data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화면에 관련된 데이터요소의 로직을 작성하는구간입니다!) 로 디자인 패턴이 되어 있으며 MVC의 C인 컨트롤러의 역할을 줄이기 위한 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점이라면? 1.View와의 Model의 의존성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View와 ViewModel을 바인딩 하여 코드의 양이 줄어든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장 떠오르는 건 이 정도입니다. 조금 더 MV..
2023.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