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3)
-
API 파헤치기[1] (API, REST, parameter)
API란? application Programmimg interface 의 약자이다. 서로 다른 하드웨어에 코드작성을 일일히 하는 업무를 줄이기 위해서 함수 하나를 만들어 각각의 하드웨어에 쓸수있게 하기위해서 개발되었다 API는 프로그램과 또 다른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매개체 역활을 한다. -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서로 정보를 교환가능 하도록 하는 것 -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에서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통신의 종류 앱과 서버 간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 TCP/UDP를 사용하는 소켓 방식의 연결성 통신 또 다른 하나는 HT..
2022.06.15 -
break, continue란?
Break -반복문 혹은 Switch 구문에서 사용되는 'Break'. -반복문에서 사용되면 즉시 반복문을 종료하게 만드는 역할. -Switch 구문에서 사용되면 특정한 case를 충족할 시 종료하게 만드는 역할. e.x 1. 제어 전달문 Break for num in 0...8 { if num % 2 == 0 { break
2022.06.13 -
연산자란?
Swift에서도 다른 언어들처럼 다양한 타입의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지원하는 연산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할당 연산자 2) 산술 연산자 3) 비교 연산자 4) 논리 연산자 5) 범위 연산자 1.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는 값을 초기화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 상수, 변수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1. let b = 10 // 상수라서 안된다? 2. var a = 5 //변수 이기 떄문에 값이 변경된다 10! 3. a = b 4 // a 값은 10 let (x, y) = (1, 2) // x는 1, y 값은 2 가 됩니다. if x = y { // x= y 는 값을 반환하지 않기 때문에 이 문법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 이 특징은 ‘실제로는 같음 연산자 (==) 를 의도할 때 할당 연산자..
2022.06.13 -
변수, 상수에 대하여
-상수 선언 키워드 - let -변수 선언 키워드 - var let 변수명 : 타입 = 값 vaar 변수명 : 타입 = 값 값이 명확하다면 타입은 생략 가능하다. let 변수명 = 값 var 변수명 = 값 let constant: String = "추후에 변경이 (불가)능한 상수 let" var variable: String = "추후에 변경이 (가능)한 변수 var" 코드 구현 하기 let sum : Int let a : Int = 100 let b : Int = 200 sum = a + b print(sum) (300) 결과값이 나타난다. //상수 선언이라 추후 값을 변경하지 못한다. 변수도 할당이 가능하다. var nickName: String nickName = "yagom" // 변수는 차후에 ..
2022.06.13 -
테이블 뷰에 관하여
8 - 1. 테이블뷰 컨트롤러, 뷰컨트롤러의 테이블뷰 추가의 차이점 TableViewController 해당TableViewController를 UITableViewController Class에 연결하면 delegate, datasource가 자동으로 지정된다. ViewController ViewController Class 가 UITableViewDelegate, datasource 프로토콜을 추가로 선언해주어야한다. 테이블뷰의 Delegate, datasource가 ViewController 자신임(Self)을 지정해야한다 // 8 - 2. 테이블뷰 데이타소스란? 우선 테이블 뷰를 화면에 표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정적인 방법 2. 동적인 방법 테이블 뷰의 표현 방법을 바꾸는 것은..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