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6. 21:14ㆍswift
딕셔너리란?
- 고유 키와 그에 대응하는 값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이다.
인덱스 정수 대신 문자열 등의 고유 키를 사용한다는 차이를 제외하면 배열과 흡사한 자료형이라 할 수 있다.
키와 값 사이는 콜론(:)으로 구분해야한다.
*배열과 다르게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하나의 키는 하나의 데이터에만 연결되어야 한다.
*하나의 딕셔너리에서 키는 중복될 수 없다.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에는 제한이 없지만, 하나의 딕셔너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은
모두 일치 해야한다.
딕셔너리에 값 넣는법
- [ 키 : 데이터, 키 : 데이터]
var response = [201: "phj", 301: "shs", 401: "phh", 501: "jercy"]
위와 같은 딕셔너리는
var response[Int : String] 이 타입이라는걸 알수있다.
key가 Int, Value가 String 이다.
var good: [String: String] = [:]
위와 같은 코드는 "빈 딕셔너리"를 만든 경우이다.
딕셔너리에서 값 가져오는 법
var response = [201: "phj", 301: "shs", 401: "phh", 501: "jercy"]
for (key, Value) in response {
print(key)
} 결과는 -501\201\401\301 나타난다 (배열과 다르게 순서를 보장하지는않는다)
반대로 print(key) 대신 print(Value)를 했을때는 String값이 나온다.
키값과 타입값 전부 나타내기 위해서는 print(response)를 치면 [키(Int): 타입(String)]값이 전부 나타난다.
기존에 있던 딕셔너리에 값 추가하는 방법
var response = [201: "phj", 301: "shs", 401: "phh", 501: "jercy"]
response [101] = "dong" //변수 [키Int : 타입Strin] 에 맞게 추가하여 프린트한다
print(response)
//[501: "jercy", 401: "phh", 101: "dong", 201: "phj", 301: "shs"] 출력 됩니다.
기존 딕셔너리에 값제거
var response = [201: "phj", 301: "shs", 401: "phh", 501: "jercy"]
response.removeValue(forKey: 301)
print(response)
//[201: "phj", 501: "jercy", 401: "phh"] 출력된다.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이블 뷰에 관하여 (0) | 2022.06.13 |
---|---|
함수의 매개변수를 알아보자 (0) | 2022.06.06 |
함수 (0) | 2022.06.02 |
변수에 대해서 (0) | 2022.06.02 |
옵셔널에 관하여 (0) | 2022.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