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에 관하여

2022. 6. 2. 12:29swift

배열이란?

- 배열은 서랍장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변수에 여러개의 값을 넣어 사용 할 수 있기 떄문이다.

배열에서는 순서대로 할당되며, 중간에 값을 생략하거나 건너뛸 수 없다.

var a = ["1", "2", "3", "4", "5", "6"]

a의 값에서 3이 없어 지더라도 4번부터 값이 앞으로 이동하며 빈자리를 채워 넣습니다.

중간에 값이 없어진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가장 마지막 값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배열에서 값 읽어오기

var mya = ["a", "b", "c"]

print(mya[1])  ==== mya의 1번째인  b값을  출력

print(mya[x]) 의 값을 출력한다

 

for in 문     (이터레이터 Iterator) 사용

var mya = ["a", "b", "c"]

for iterate in mya {

print(iterate)

}

 ===== \a  

              \b

              \c 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배열에 값 넣기

"append"를 활용 하여 배열 끝자리에 값을 추가 한다.

var mya = ["a", "b", "c"]

mya.append("d")    // 배열끝에 d값을 추가한다.

print(mya)   ====== a, b, c, d 의 값으로 출력된다.

 

"insert" 를 활용 하여 배열 중간에 값을 추가 한다.   

var mya = ["a", "b", "c"]

mya.insert("d", at: 2)    (d의값을 추가한다  at= 값의 순서(위치))

print(mya) 출력값은 == ["a", "b", "d", "c"] (at:2 이기때문에 2번째 자리에 d가추가된다)

 

배열의 값을 지운다 "remove"를 활용하여 배열속에 있는 값을 지운다.

var mya = ["a", "b", "c"]

mya.remove(at: 1)    (at:1 를 적용하여 배열 1번값을지운다)

print(mya) === ["a", "c"]  (at:1를 적용되어 b가 지워지며 a, c 만 출력된다)

 

 

배열에 값을 추가 하기

var mya = ["i":1, "love":2, "you":3]

mya["han"] = 4    //mya 배열에 han을 추가한다

print(mya)== 출력값 ["i": 1, "han": 4, "you": 3, "love": 2]

//왜 han 출력값이 1번째로 나타는가 순서 변경은 불가능한건가

 

배열에 값을 변경하기

 

var mya = ["i":1, "love":2, "you":3]

mya["i"] = 5    //배열안의 i 값을 1에서 5로 변경할 수 있다.

print(mya)  === 출력값 ["love": 2, "you": 3, "i": 5]

//변경된 값은 제일 마지막에 출력이 되나??

 

 

추가적으로 합치는 부분

var mya = [1, 2, 3]

mya.reduce(50, +)

print(mya)  ==출력값[1, 2, 3]  50

 

 

var mya = ["i", "love", "you"]

 

let nwemya = mya

mya.reduce("", +)

print(mya) == 출력값이["i", "love", "you"] iloveyou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  (0) 2022.06.02
변수에 대해서  (0) 2022.06.02
옵셔널에 관하여  (0) 2022.06.02
옵셔널 바인딩이란?  (0) 2022.05.09
연산 프로퍼티의대해서  (0) 2022.05.09